본문 바로가기
가족들 이야기

차려,제사상 차리는법

by 자스어 2010. 12. 22.

제사상 / 차례상 차리는 방법

 

1. 제수란?

제수는 곧 제찬(祭饌)이라고도 하는데, 각 가문의 형편에 따라 다르고 각 지방의

관습에 따라 다른 점이 있다. 다만 제수의 많고 적음보다는 그 정성에 치중하여

지내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러나 옛날부터 우리 조상들이 지켜온 제수의 격식이

있으므로 그에 준해야 한다.

 

2. 제사음식과 기본상식

* 복숭아와 꽁치 참치 갈치 등 치자로 된 생선은 사용하지 않는다.

* 고춧가루와 마늘 양념을 사용하지 않는다.

* 진설의 순서는 시접과 잔반을 먼저 올린 뒤에 앞줄부터 순서대로 놓는다.

* 설에는 떡국을, 추석에는 송편을, 기제사는 주로 메(밥)을 올린다.

* 진설도의 방식은 지방에 따라 조금씩 차이가 있으나 기본적인 것은 대동소이 하다.

* 지방을 사용할 때는 반드시 축문을 읽어야 한다.

 

3. 제상 진설의 원칙

좌포우혜(左脯右醯) : 좌측에 포, 우측에 혜

어동육서(魚東肉西) : 동쪽에는 어류, 서쪽에는 육류

동두서미(頭東西尾) : 생선의 머리는 동쪽으로, 꼬리는 서쪽으로

홍동백서(紅東白西) : 붉은색은 동편으로, 흰색은 서편으로

조율이시(棗栗梨枾) : 대추 . 밤 . 배 . 감의 순서로 놓는다(배와 감을 바꾸는 경우도 있다)

 

* 동쪽은 제관의 우측, 서쪽은 제관의 좌측을 말한다

 

* 참고로 대추는 씨가 1개로 임금을 뜻하고, 밤은 씨가 세 톨로 3정승을 뜻하며,

곶감은 씨가 6개로 육조판서를 의미하며, 배는 8개로 8도 관찰사를 뜻하므로

조율이시의 순서가 맞다는 주장도 있다.

 

 

4. 제상 진설 방법 (1)

(1) 과일을 놓는 줄

* 조율이시의 순서로 차리며, 그 외는 나무과일, 넝쿨과일 순으로 한다.

* 과일에 이어서 조과류(손으로 만든 과자)를 쓰되 먼저 다식류, 유과류, 그

다음에 당속류를 놓는다.

 

 

(2) 반찬을 놓는 줄

* 좌포우혜라 하여 왼쪽 끝에 포(북어, 대구, 오징어 등)를 올리고, 오른쪽 끝에 식혜를 쓴다.

* 그 중간에 삼색나물(콩나물, 숙주나물, 무나물 또는 고사리, 도라지나물 등)과

간장, 동치미 순으로 올린다.

 

(3) 탕을 놓는 줄

* 대개는 3탕으로 육탕(육류), 소탕(두부류), 어탕(어패류)을 사용하나 오탕을

사용할 때는 봉탕(오리), 잡탕 등을 더 올린다.

 

(4) 적과 전을 놓는 줄

* 대개는 3적으로 육적, 소적, 어적의 순으로 올리나, 5적을 사용할 때는 봉적(닭 . 오리),

채소적을 더 사용하기도 한다.

 

 

(5) 메(밥), 갱(국)을 놓는 줄

* 메를 오른쪽에, 갱을 왼쪽에 올리며 술잔은 메와 갱 사이에 올린다.

* 수저는 단위제는 왼쪽 갱 옆에, 양위제는 중간에 올린다.

* 국수는 건더기만 하여 왼쪽 끝에 올리며, 편(떡 종류)은 오른쪽 끝에 올린다.

 

 

4. 제상 진설 방법 (2)

1. 과일이나 조과(造果)를 놓는 차례

① 조율시이(棗栗枾梨) 진설법

진설자의 왼편으로부터 조(대추), 율(밤), 시(곶감), 이(배)의 순서로 진설하고

다음에 호두 혹은 망과류(넝쿨과일)을 쓰며 끝으로 조과류(다식, 산자, 약과)를

진설한다.

 

② 홍동백서(紅東白西) 진설법

붉은색 과일을 동쪽(참사자 우측), 흰색 과일을 서쪽(참사자 좌측)에 진설하고 그

가운데 조과류인 다식, 산자, 약과 등을 진설한다.

 

 

2. 반찬류를 놓는 차례

좌포우혜(左脯右醯)라 하여 포(문어, 명태, 오징어 등)을 왼펀에 식혜를 오른편에

진설하여 침채(김치, 동치미 등), 숙채(불에 삶거나 쩌서 익힌 나물), 청장(간장)을

그 가운데 놓은다.

 

3. 탕을 놓는 차례

어동육서(魚東肉西)라 하여 물고기탕은 동쪽(우측), 육류탕은 서쪽(좌측)에 진설하고

그 가운데 채소 두부 등으로 만든 소탕을 설치하되 단탕, 삼탕, 오탕 반드시

음수(홀수)로 쓴다.

 

4. 적과 전을 놓은 차례

적이라 함은 불에 굽거나 찐 것을 말하며, 전이라 함은 기름에 튀긴 것을 말한다.

① 어동육서(魚東肉西) 진설법에 의하여 어류는 동쪽에, 육류를 서쪽에 진설하여 그

가운데 두부, 채류를 진설한다.

② 두동미서(頭東尾西)라 하여 어류의 머리는 동쪽으로 꼬리는 서쪽으로 향하게

진설한다. (동쪽은 진설자의 우측, 서쪽은 좌측을 뜻하기도 한다.)

 

5. 반과 갱을 놓은 차례

반(메)은 오른편에, 갱(국)은 왼편에, 편(떡)은 오른편에 진설하고 수저와 술잔을

그림과 같이 진설한다.

 

 

 

 

 

 

 

'가족들 이야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스크랩] 교통사고 블랙박스영상  (0) 2014.11.03
순천 빛 축제  (0) 2013.08.12
제사 지내는 순서  (0) 2010.12.22
인천세계도시축전  (0) 2009.08.28
안동 화회마을  (0) 2009.08.28

댓글